본문 바로가기

Backend/CS

1. 컴퓨터 구조 (16비트 가산기와 클럭 동작 이해)

반응형
SMALL

8비트 전가산기

  • 기본 개념: 8비트 전가산기는 한 번에 8개의 비트를 더할 수 있는 전자회로입니다.
  • 동작 방식: 각 비트는 이진수(0 또는 1)로 표현되며, 전가산기는 이들을 더하여 결과와 캐리(carry)를 출력합니다.

16비트 전가산기

  • 확장된 용량: 16비트 전가산기는 두 배의 데이터, 즉 16개의 비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계산 범위: 16비트 가산기는 최대 2^16, 즉 65536까지의 값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응용: 이런 가산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 연산에 널리 사용됩니다.

클럭

클럭의 기본

  • 정의: 클럭(clock)은 전자회로에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입니다.
  • 기능: 이 신호는 데이터 처리, 명령 실행 등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클럭의 단위 및 변환

  • 1GHz 클럭: 1GHz(Gigahertz)는 1,000MHz(Megahertz) 또는 1,000,000,000Hz(Hertz)에 해당합니다.
  • Oscillator: 클럭 신호는 오실레이터(oscillator)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0과 1의 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합니다.

주기와 주파수

  • Cycle: 사이클은 클럭 신호가 한 번의 완전한 0에서 1로, 그리고 다시 0으로 돌아가는 간격을 의미합니다.
  • 주기: 한 사이클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주기라고 합니다.
  • Frequency: 주파수는 1초당 사이클의 수를 나타내며 헤르츠(Hz) 단위로 측정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