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Study

(3)
WebSocket 웹소켓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처음 사용을 해보고 주로 실시간을 위해 사용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채팅, 주식 등) 그래서 정리를 한번하고 구현에 들어가려고 합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장시간 실시간 Full Duplex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그래서 브라우저 서버 간의 지속적인 양방향 통신을 위한 HTTP 솔루션은 대부분 폴링이나 단방향 트래픽만 처리하는 두 개의 개방형 HTTP 연결, 또는 둘 다로 구성됩니다. Polling 폴링(polling)이란 하나의 장치(또는 프로그램)가 충돌 회피 또는 동기화 처리 등을 목적으로 다른 장치(또는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송수신 등의 자료처리를 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
Redis Redis in-memor 방식의 No-SQL 기반 DBMS Key-Value(키-값) 구조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 Singel-Thread 기반으로 동작함.(명령 수행) DB, Cache(캐시),Message Broker(메시지브로커) 용도로 주로 사용함. - 사용예시) 세션관리, 대기열, 실시간 순위표, 캐시 1. In-memory - MySQL, PostgreSQL, Oracle 과 같은 DBMS에서는 디스크 또는 SSD 와 같은 저장소에 저장하지만, Redis는 in-memory 방식으로 인해, 서버의 주 메모리에 저장된다.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 처리 할 수 있다. (서버 메모리에 데이터가 적재되기 때문.) in-memory 방식이지만, 스냅샷을 통해 디스크에 백업 하는 기능이 있다. 기..
JWT (JSON Web Tokens) JWT란? JSON Web Token의 준말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JSON 자료구로를 가지고 있으며, Web Token으로써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state-less를 지향합니다. state-less(무상태)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 장점: 서버의 확정성이 높고 대량의 트래픽이 발생해도 대처가 가능합니다. - 단점: 1. state-ful 방식보다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전송되서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가 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노출로 인한 보안적인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 압축 및 암호와를 위하여 JWT를 사용합니다. JWT 구성 aaaaa.bbbbb.ccccc ..

반응형
LIST